지난 세번의 강의를 통해 육부의 오행혈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감은 잡으셨죠?
앞으로 쉬는 한주간 위장에 대한 공부를 반복하시다보면 위장병 환자가 자연히 보이시게 될 것입니다.
족삼리와 중완의 압통을 확인하시고 환자가 호소하는 병증에 맞추어 오행혈 조합을 사용해보시면 즉효를 보시는 경우가 많을 것
입니다. 그 중에 인상적인 경험이 있다면 치험례를 통해 공유해주시기 바랍니다. 처음 치험례를 쓰기가 어렵지 막상 써보시면
치험례를 쓰는 것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느끼시게 될 것입니다.
본인 뿐만이 아니라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일이니 망설이지말고 용기를 내서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주 강의주제는 소장입니다.
아마 사암침법을 사용하시던 분들은 익숙한 장부가 소장일 것입니다. 사암침법의 소장정격이 워낙 효과가 좋은 조합이기에
임상에서 좋은 효과를 보신 분들도 많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이번 기회에 소장정격이 치료하는 소장의 병리와 병증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점검을 하고 지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자세히 따져보면 굉장히 많은 의미가 숨어있습니다.
1. 소장의 경락유주와 병증에 대해서 암기해주세요.
2. 소장의 오행혈 조합이 해결할 수 있는 기본 병리상황을 숙지해주세요.
3. 후계와 독맥의 관계를 잘 생각해보세요. 후계가 독맥의 통혈이며 소장의 목혈인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4. 소장은 독맥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기를 조절합니다. 하초의 온양은 소장의 수성화물을 위한 필수조건입니다.
5. 소장은 수성화물을 통해 혈을 생성합니다. 수성화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어혈이 발생합니다.
6. 대영전,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온청음, 계지복령환 등의 처방은 소장의 오행혈 조합과 비슷한 방의를 가지고 있는
처방들입니다. 이들 처방의 의미와 소장의 병리상황을 연결지어 생각해보세요.
7. 다음의 오행혈 조합의 내상병리와 경락병의 양상을 생각해보세요.
[1] 후계 임읍+ / 전곡 통곡+
[2] 후계 임읍- / 전곡 통곡-
[3] 후계 임읍 / 소택 상양-
[4] 전곡 통곡 / 소택 상양-
|